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매거진S
지속가능_Story
지속가능한 사회
지속가능한 창업
지속가능한 생명
윤준식의 view-in, view人
지속가능_Local
로컬의 맛
로컬기행
로컬의시대
기획/연재
일본을알자
새로운전장-당신의머릿속
2023 프로야구
문학 한 잔
코로나 일기
시사N역사스페셜
경복궁_이야기
지난 기획/연재
3.11 동시조합장 선거
대안정당_대안정치
세월호 그 후
왜 하지 않았는가
교육과청소년
대한민국 우주개발
블록체인특집
속지마! 지망생
시사/비즈니스
시사 종합
비즈니스 종합
지방/네트워크
마케팅/트렌드
4차산업혁명&블록체인
뉴스클리핑
&라이프
노브레이크 인터뷰
무비파크
시민칼럼/논단
트렌드리포트
책과 함께
문화 종합
인물 종합
공연리뷰
문화/인물
연재
위기의리더십
4차산업혁명시대의글쓰기
다시 보는 독일 통일
도전 1인 방송
지난 연재들
조연호의4차산업혁명
꼬리에꼬리를무는예술
한국교회가살아야한국이산다
시사N-소셜방송
좋은아빠! 그냥아빠?
슬기로운 덕후생활
글쓰기로자유로워지자
종합
2020디지털야영대회
매거진S
지속가능_Story
지속가능한 사회
지속가능한 창업
지속가능한 생명
윤준식의 view-in, view人
지속가능_Local
로컬의 맛
로컬기행
로컬의시대
기획/연재
일본을알자
새로운전장-당신의머릿속
2023 프로야구
문학 한 잔
코로나 일기
시사N역사스페셜
경복궁_이야기
지난 기획/연재
3.11 동시조합장 선거
대안정당_대안정치
세월호 그 후
왜 하지 않았는가
교육과청소년
대한민국 우주개발
블록체인특집
속지마! 지망생
시사/비즈니스
시사 종합
비즈니스 종합
지방/네트워크
마케팅/트렌드
4차산업혁명&블록체인
뉴스클리핑
&라이프
노브레이크 인터뷰
무비파크
시민칼럼/논단
트렌드리포트
책과 함께
문화 종합
인물 종합
공연리뷰
문화/인물
연재
위기의리더십
4차산업혁명시대의글쓰기
다시 보는 독일 통일
도전 1인 방송
지난 연재들
조연호의4차산업혁명
꼬리에꼬리를무는예술
한국교회가살아야한국이산다
시사N-소셜방송
좋은아빠! 그냥아빠?
슬기로운 덕후생활
글쓰기로자유로워지자
종합
2020디지털야영대회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매거진S
기획/연재
시사/비즈니스
&라이프
문화/인물
연재
종합
시사N라이프 매체소개
언론중재신청안내
기자윤리강령
인터넷신문윤리서약
광고/제휴 안내
기사 제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매거진S
지속가능_Local
로컬기행
로컬기행
다음
이전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51)]경남 통영 앞바다, 멸치잡이 조업 현장에서
과거 경남 통영 출사 때 지역 수협의 협조를 얻어서 멸치잡이 현장을 직접 볼 수 있었습니다. 멸치잡이 어업을 정확하게 말한다면 기선권현망어업이라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물을 거대한 보자기 같이 만들어 물고기 어군들을 몰아 가두어 올리는 것인데요. 통영 지역에서는 멸치잡이를 관장하는 기선권현망어업조합이 있어 바다에서 멸치잡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6.23 00:00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50)]명품 굴비만큼 귀한 치즈 만날 수 있는 곳, 영광 유레카 목장
많은 사람들은 치즈와 같은 유제품들은 유럽과 같은 외국산이 고급이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관련 재품들도 곳곳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프리미엄 유제품들도 조금씩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그 제조 공정이 힘들고 많은 노력이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 어려운 일이 도전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6.21 15:10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9)] 푸른 하늘, 푸른 초원이 함께했던 안성 팜랜드
해외 여행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푸른 하늘과 드 넓은 초원이 함께 하는 풍경에 기억에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좀처럼 볼 수 없는 풍경이기 때문일텐데요. 경기도 안성에 가면 농협에서 운영하는 안성팜랜드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곳은 그 규모나 경관 시설에 있어 어느 나라의 목장못지 않습니다. 이국적인 풍경이 보는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31 15:12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8)] 봄 향기를 수출하는 곳, 고양 딸기 영농조합법인
요즘 무역 문제가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업부분에서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값산 외국산 농산물이 밀려들어오는 현실이 농어민들에게 큰 부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러 대책들이 나오고 있지만 그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여기 현재의 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하려는 곳이 있습니다. 올해 국내 2번째로 딸기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26 17:02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7)] 우리 전통음식의 멋을 찾아서
한가위와 더불어 민족 최대 명절중 하나인 설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조상에서 차례를 지내고 고향을 방문하고 사람들은 분주하기만 합니다. 그 동안 잊혀졌던 우리 것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말이죠. 다양한 민속놀이와 우리 전통들이 새삼 조명되기도 합니다. 그것이 그 때 뿐이라는 점은 항상 아쉬움입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과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24 18:11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6)] 논에서 만난 변화를 하나로 담았습니다.
이제 2011년도 한 달의 시간만 남았습니다. 나이가 든 탓인지 시간의 흐름이 너무나도 빠르게 느껴집니다. 주변의 변화에도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고요. 해마다 우리 농어촌을 자주 다녔지만 올해는 여러 사정으로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가장 소중한 사람을 만났으니 그 아쉬움이 덜하긴 하지만 말이죠. 그 동안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19 10:14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5)] 머루가 익어갑니다.
한 여름 뜨거운 태양이 힘든건 모든 생명체들이 같겠지요? 그 중에서 따가운 햇살이 가장 반가운 친구들이 있습니다. 가을 수확을 위해 자라고 있는 농작물들이 그들입니다. 그중에서도 빨갛게 아니며 노랗게 익어가는 과일들은 태양이 더 반갑습니다. 여름내 많은 햇살을 받을 수록 그 맛이 더 달고 속이 꽉 차게 되니 말이죠. 언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17 13:00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4)] 무더위를 식혀줄 아이템, 우리 인삼쌀 맥주는 어떤가요?
장마가 끝나고 시작된 한 여름 무더위, 사람들은 시원한 그늘과 시원한 음식들을 찾게 됩니다. 시원한 과일과 아이스크림도 더위를 이기는데 중요한 아이템들입니다. 시원함이 가득한 맥주라면 어떨까요? 그것도 우리쌀과 인삼으로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 맥주라면? 시원함에 또 다른 맛이 첨가될 것 같은데요. 제가 사는 김포에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12 16:24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3)] [시선] 강화도 창후리, 작은 포구에서 만난 새우
강화도는 시대별로 많은 유적들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고인돌로 대표되는 선사시대 유적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유적지와 유물들이 있는 곳입니다. 고려시대 몽고와의 수십년 전쟁동안 임시 수도로서 항쟁의 구심점이 되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후기 외세와 치열한 격전을 벌인 곳이기도 합니다. 그 때문인지 강화도 곳곳에서 수 많은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10 14:05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2)] 봄과 어울리는 과일 딸기
요즘은 시설재배와 활성화되어 4계절 내내 다양한 과일을 맛볼 수 있습니다. 그래도 계절을 대표하는 과일들은 존재합니다. 대부분은 풍성한 가을걷이와 함께하지만 봄에만 유독 더 각광받는 과일이 있는데요. 딸기는 그 중 하나입니다. 시설재배가 활성화되면서 12월 부터 5월까지 수확이 가능한 과일입니다. 지금인 기술이 발달되어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05 15:16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1)] 어시장의 부두, 그리고 새벽
지금으로부터 딱 1년전이었네요. 부산공동어시장을 방문해서 그곳의 이모저모를 담았던 것이 3월의 첫 주말이었습니다. 먼 바다에서 잡아온 각종 생선들을 공판장에서 경매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담았었는데요. 매서운 바닷바람에도 삶의 에너지가 가득했던 풍경들이 아직도 기억이 남아있었습니다. 하지만 점점 쇠락해가는 연근해 어업의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5.03 10:51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40)] 어촌의 빛을 담다
막바지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합니다. 위세를 떨치던 겨울의 추위가 이대로 물러가긴 싫었나 봅니다. 그래도 한 낮의 햇살은 봄의 따뜻함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끼게 합니다. 지난 겨울 어느 작은 어촌마을을 비추던 햇살을 담았습니다. 한 겨울이었지만 햇살이 비치는 마을이 따뜻함을 주었던 기억이 납니다. 조금만 더 있으면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28 14:07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39)] [쌀은생명이다] 황금알 낳는 들판에서
올해는 이른 추석을 맞이했습니다. 햇 과일이나 곡식들을 만나기가 빠듯한 추석이었습니다. 잦은 폭우와 태풍이 농작물 수확을 방해하기도 했고요. 이상기후 속에서도 농작물들은 결실을 맺고 사람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사람들을 가을의 수확물들을 가지고 추석 차례상으로 차리고 풍요로운 가을을 서로 나눕니다. 봄 부터 수확을 위한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26 16:02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38)] 꽃게가 제철인 김포 대명항
가을이 되면 각종 과일이며 곡식이 한 해 농사의 결실을 맺게 됩니다. 그 덕분에 한가위 명절의 풍성함도 더 하게 됩니다. 한 가위 풍성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 농촌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농촌말고 어촌에서도 가을이 되면 많이 나는 수산물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김포 대명항에 가면 꽃게가 제철입니다. 서해 먼 바다에서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21 13:56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37)] [경기 일산] 물방울들을 모았습니다.
이전에 방문했던 일산의 블루베리 테마식물원에서 물방울들을 모았습니다. 은은하게 비치는 햇살과 나뭇잎에 앉아있는 물방울들의 멋진 보석을 만들었습니다. 접사로 그 모습을을 담아보았습니다. 핀이 좀 맞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알알이 맺힌 물방울들은 예쁘게 빛나고 있습니다.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19 13:50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36)] [경기 고양] 친환경 농법? 가까운 곳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최근 친환경 유기농법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소비자들 역시 유기농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많이지고 있습니다. 생산자 입장에서도 단위 면적당 수익율를 증대시키는 대안으로 그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그 저변에는 재배의 어려움과 적은 생산량, 높은 가격등으로 소비자들이 쉽게 만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14 15:38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35)] [쌀은생명이다] 우리쌀로 무지개 빛을 만들 수 있다면?
옛날 배고프던 시절 흰 쌀밥에 고기국이면 최고의 식사였습니다. 하얀 쌀밥을 먹는다는 건 부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만큼 쌀은 주식이었지만 귀한 작물이었구요.제가 초등학교에 다닐때만 해도 쌀밥에 잡곡을 섞어 먹는 혼식 장려운동이 있을 정도였습니다. 이런 쌀이 요즘은 남아돈다는 것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합니다. 하얀 쌀밥을 먹는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12 10:03
로컬기행
[우리농산어촌(134)] [쌀은생명이다] 누군가엔 또 다른 안식처가 되는 새벽 논 풍경
계절은 무더위를 뚫고 가을로 가을로 향하고 있습니다. 달력의 시간은 8월을 지나 9월로 나아갑니다. 가을 걷이의 상징과 같은 논의 벼들도 결실의 시간을 기다릴 것입니다.
칼럼니스트 지후니74
2022.04.07 13:55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