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물산업 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한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2025' 최종 경연을 11월 25일 서울 강남구 노보텔앰버서더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물산업을 국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2020년부터 매년 개최되어 올해 6회째를 맞았다.
기후위기 심화로 물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 세계 물 시장 규모는 2025년 1,48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공모를 시작으로 일반인 대상 '아이디어 부문'과 창업기업 대상 '사업화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된 이번 대회에는 총 80개 팀이 참가했다.
서류심사와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18개 팀이 본선에 올랐으며, 이 중 각 부문 상위 4개 팀씩 8개 팀이 25일 전문가 심사위원과 국민평가단 52명 앞에서 최종 발표를 펼친다.
사업화 부문 결선 진출 기업들은 초순수, 탄소포집 등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는 분야의 기술력을 선보인다.
워터트리네즈의 친환경 필터, 케이나노의 인공지능 기반 초순수 모니터링 시스템, 알앤에스사이언스의 유기물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카본에너지의 해수 활용 탄소포집 기술 등이 경합을 벌인다.
아이디어 부문에서는 생활 밀착형 혁신 기술이 눈길을 끈다. 해양 폐자원을 활용한 수질 복원 블록, 커피박을 재활용한 미세플라스틱 저감 기술, 정수장 소형생물 제거 기술, 소형언어모델 기반 물보안 시스템 등이 최종 경연을 앞두고 있다.
수상자들에게는 총 1억 원의 상금과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상이 수여되며, 성능시험장 제공, 전시회 참여, 투자유치 지원 등 사업화 연계 지원이 제공된다.
김효정 기후에너지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전 세계 물 시장이 지속 성장하는 지금이야말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창업기업을 적극 키워야 할 때"라며 "앞으로도 유망한 스타트업과 예비 창업가를 발굴하고 실제 사업 성장까지 든든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5년간 창업대전을 통해 발굴된 73개 혁신 창업기업은 지난해까지 매출액 962억 원, 투자유치 535억 원, 고용창출 464명의 성과를 내며 국내 물산업 생태계의 핵심 주역으로 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