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데이터 활용과 디지털 포용성을 강화한 대구광역시, 경기 안양시, 서울 성동구 등 9개 지자체를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국토교통부는 11월 24일 대구광역시, 경기 안양시, 경기 부천시, 경기 수원시 등 4개 대도시와 서울 성동구, 서울 구로구, 서울 강남구, 전남 여수시, 서울 은평구 등 5개 중소도시를 스마트도시로 인증했다.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도시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21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신청 지자체의 스마트도시 서비스 및 기반시설 수준, 공공의 역량과 혁신성, 거버넌스·제도 등을 53개 세부 평가지표로 종합 평가하며, 총 배점 2,000점의 70% 이상을 획득한 도시에 인증을 부여한다.

대구 AI기반 스마트교통플랫폼 (국토교통부 제공)

■ 대도시 부문에서는 데이터 생태계와 혁신 서비스 주목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대구광역시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교통플랫폼과 대구 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 데이터 생태계 조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구시는 주요 250개 교차로에 900여 대의 AI 기반 엣지 CCTV를 설치하고 교통정보 13종에 대한 수집·운영관리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대구스마트시티센터 내에 데이터안심구역을 마련해 시민들이 다양한 미개방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경기 안양시는 인공지능 동선추적 시스템 'AIID'와 자율주행 버스 '주야로' 등 혁신서비스 운영 측면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AIID는 치매 어르신, 가출 청소년 등 실종자 발생 시 CCTV 2,000대를 동시에 초 단위로 검색해 이동경로를 예측하는 혁신적 안전관리 체계로 평가받고 있다.

경기 부천시는 모바일 통합플랫폼 '부천in'과 온마음 AI 복지콜 등 시민편의 및 복지서비스 측면에서, 경기 수원시는 1997년 전국 최초로 구축한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과 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 등 교통서비스 측면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민관협력 스마트도시운영 모델 ‘성수 타운매니지먼트’ (국토교통부 제공)

■ 중소도시는 시민 참여와 디지털 포용성 강화

중소도시 중 서울 성동구는 주민참여 정책제안 플랫폼 '성동구민청'과 민관협력 도시운영 모델인 '성수 타운매니지먼트' 등 시민 참여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성동구민청에서 공감 받은 시민제안을 정책으로 실현하는 행정시스템을 구축해 시민이 정책에 참여하는 리빙랩을 구현하고 있다.

서울 구로구는 보행보조 재활로봇 도입과 다중인파 안전관리 분석시스템 등 복지 및 안전 측면에서, 서울 강남구는 국내 최초 협동로봇 안전 인증센터인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와 미래교육센터 등 기술실증·체험환경 조성 측면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전남 여수시는 글로벌 스마트관광 통합앱 '여수엔'과 ICT 기반 상수도 스마트 원격검침시스템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올해 처음으로 스마트도시 인증을 받게 됐다.

서울 은평구 역시 교통약자의 이동 지원 플랫폼 '은평 모두로'와 AI-IoT 기반 전동보장구 이동안전 플랫폼 등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첫 인증을 획득했다.

■인증 연장: 서울시, 성남시, 울산시, 대구 수성구, 서울 관악·송파·종로구

2023년 인증을 받은 도시들은 인증 재검토기간 2년이 도래해 지속 여부를 심사한 결과, 신청한 서울특별시, 경기 성남시, 울산시 등 대도시 3곳과 대구 수성구, 서울 관악구, 서울 송파구, 서울 종로구 등 중소도시 4곳 모두 인증 연장이 결정됐다.

인증 대상으로 결정된 지자체에는 국내외에 우수한 스마트도시로 홍보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함께 동판이 수여된다.

윤종빈 국토교통부 도시경제과장은 "인증제를 통해 국내 스마트도시 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우수사례를 발굴해 국내외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체계적인 도시수준 진단을 통해 지역 간 기술격차 완화 등에도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